기업현황
종목명 : NAVER (네이버)
업종 : 비즈니스 플랫폼서비스
종가 : 153,500
52주 최고가 156,000
52주 최저가 104,000
시총 25조 2,989억
발행주식수 164,813,395
유동비율 77%
외국인 지분율 59%
최근 1년간 주가 수익률 +5.7%
주요주주
국민연금 11%
BlackRock Fund Advisors 5%
Harris Associates LP 5%
----------------------------
자사주 5%
네이버(naver) 연혁
1999년 설립
2002년 코스닥 상장
이후 2008년 코스피로 이전 상장
국내 1위 인터넷 검색 포털사로 모바일 메신저
'라인' 및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한 광고, 비즈니스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요.
본사위치 (정자동 그린팩토리)
'네이버(naver)' CI
기업개요
설립 - 1999년, 상장 2008년
대표 - 한성숙 (종업원수 3,570명)
주요제품 (비중)
비즈니스, 라인 및 기타 플랫폼 (77%)
신용등급
BOND- AA
자본금 특이사항
2018년 10월12일 액면분할
최근 실적
매출 : 6조5,691억
영업이익 : 7,586
순이익 : 3,744
2019년 추정실적 (단위 : 억)
기본 재무분석
(2014 ~ 2018)
네이버는 우리나라 최고의 인터넷 검색 포털기업
(시총5위)
내재가치
2019년 추정 BPS 39,067원으로 과거와 같은 성장세를
이어 간다면 5년 뒤면 8만원 까지도 될 듯한데
글쎄요. 미래도 과거 처럼 그대로 간다는 보장은 없으니
추이를 지켜봐야 할것 같네요.
수익가치
2019년 추정 EPS 2,970원
2017년까지 eps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다
작년 부터 꺽이기 시작하여 올해도 그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믿을 수는 없지만 추정 실적상
올해를 바닥으로 점차 eps가 상승하여 2021년
5,366원까지 간다고 나와있는데
이대로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성장가치
영업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을 하고 있는 모습으로
비대해진 몸집을 좀 정리하고 다시 한번 도약 할
때가 된것 같은 우리 네이버~
2019년 추정 영업이익률 12%
(2014년 기준 반토막 이상 난 상태)
종합 분석
현재 PER 52
네이버의 per52를 어떻게 판단 할까나?
고평가? 고성장?
국내검색시장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이상 고성장이 시기는 아닌 것 같고
그렇다면 고평가 일까??
네이버는 지난 10년간 가히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오다 작년 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 같은 부진을 탈피하기 위해
음성, 이미지, 위치기반 검색과 AI기술을 활용한
상품/컨텐츠 추천 기능을 선보이고 있고
네이버페이 성장을 바탕으로
금융서비스 확장 계획을 발표하는 등
1등을 유지 하기 위해 분주히 노력 중이다.
따라서 이대로 꼬끄라질 기업은 아닐 것이고
향후 신규사업이 소비자의 기대에 부흥해 준다면
eps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설 것이고
그렇다면 지금 느껴지는 이 고평가 스러움은
점차 해소 될 것으로 예상 된다.
"핵심은 EPS증가"
적정주가
과거 10년간 per 구간 13~52
보수적으로 중간 값 34를 기준으로 산출해 보면
10만원 초반으로 나오는데 현재 주가가 153,500원!!
헐~~~ 예의 상 이건 좀 그렇고
그렇다면 최고 PER 52를 적용해도 해봐도
154,000원ㅠㅠ
현재로써는 매력적인 매수구간으로 보여지지 않아
투자는 보류~
재무분석 상세
(2014~2018 기준)
현금유동성
총부채 대비 차입금 비율 30%대
현금성 자산 대비 차입금 비율 40%대
안정성
부채비율 70%초반
자본 대비 잉여금비율 80%중반
배당률 0.3% (2018)
부채비율, 잉여금은 양호한 편이고
배당율은 형편 없음
충분한 현금보유량이 있어 단기부도 위험은 없어 보인다.
잉여금이 2014년 이후 지속 감소추세이다.
그간 모아놓은 돈 투자하고 있는 듯
수익율
ROE (e) 9%, 영업이익률(e) 11%대
운전자본 수익률 20% (2018)
운전자본 : 매출채권, 재고자산, 고정자산
(투자부동산 제외)
회전율 (일) 매출/ (매출채권+재고)
외상판매 및 재고자산 등이 약 100일 안에
현금화 되고 있다.
※ 회전율 1년을 넘기면 부실 자산으로 간주
(제조업 기준)
기술적분석
2018년 년봉상 5년선 이탈 후 현재 회복중
.
일봉상 작년 초부터 하락세를 이어오다
올해 5월부터 반등을 시작~~
현재 720일선까지 도달한 모습
통상 720 저항을 뚫고 상승하는 확률이 높은데
이제 720 저항 첫 번째 노크 중이라
앞으로 두어번 더 도전 해야
뚫지 싶네요.
설사 저항선을 돌파 했다고 해도 실적이 받쳐 주지 않는다면
다시 720선 이하로 추락 가능성이 높으니
항상 실적 개선을 염두해 두어야 할 것입니다.
네이버 최종정리
(2014~2018년까지 기준)
4년 6개월간 누적순이익 2조7,894억에
고정자산과 운전자본 증(감)액 1조8,615억을
제하면 9,279억 흑자경영~
기간 동안 자본금을 늘려 2조 가량을 투자하였고
(대부분 관계기업투자)
겁나 투자 후 부족해진 현금흐름 1조3,223억을
카바하고 현금유동성 마련 위해
부채 3조5,700을 땡깁니다.
이중 이자 나가는 부채인 차입금은 1조5,643억!!
최근 2분기 실적
매출 1조6,303억에 순이익 278억 달성
아~이건 너무 부진한데
반기 순이익이 1,000억대에 불과
이대로 간다면 2019년 순이익이 2000억대인데
작년에 비해 반토막도 안되는 수준~~
작년 동분기 실적 대비 10분의 1수준
18Y 2Q 당기순이익 2,818억
19Y 2Q 당기순이익 278억
아니 네이버 뭔일 있니~~
국민연금이 최대주주가 되서 그런가??
투자도 장기금융자산, 관계기업투자에 비중이 크고
뭔가 도전하고 개발하고 하는 쪽 보다 그간 번 돈으로
이자 놀이 하면서 안전 빵으로 가려고 하는 건가?
이러면 안되는데 뭔가 정체된 느낌을 지울수 없다.
뭔가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해 보이는 네이버
네이버 서비스 종류 보기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오롱글로벌 기본적분석/투자의견/목표주가(feat:하늘채) (0) | 2019.09.24 |
---|---|
지주회사란? (holding company) (0) | 2019.09.15 |
다음카카오 주식, 기본적/기술적분석 종합 (0) | 2019.09.07 |
'네이버' 사업내용- 인터넷 산업의 특성 (0) | 2019.09.03 |
이글루시큐리티, 에스원 종합보안서비스사업 MOU체결 (0) | 2019.08.28 |